
보건의료 재난위기 심각단계 하향조치에 따른 '의료기관 외 의료행위 한시허용조치 변경' 사항 안내
1. 구민건강증진 및 보건행정에 협조하여 주시는 귀 의료기관에 감사드립니다.
2. '25.10.20. 중대본의 보건의료 재난 위기경보 단계 하향 조정에 따라 '의료기관 외 의료행위 한시허용 조치'를 아래와 같이 변경하오니 적극 협조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구분 | 종전조치('24.4.22.) | 변경조치('25.10.20.) |
법적근거 | 「의료법」제33조제1항제3호 -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공익상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요청하는 경우 의료인은 의료기관 외에서 의료행위 가능 | |
적용대상 | ① 병원급 의료기관 소속 의료인이 해당 의료기관의 환자를 의료기관 외에서 진료(별도 절차없이 일괄 허용) | ① 종료 |
적용대상 | ② 개원의가 자신이 개설한 의료기관이 아닌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진료(심평원 인력신고*만으로 가능) * 진료할 의료기관에서 심평원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을 통해 '기타' 인력으로 신고 | ② 필수의료 인력 부족 완화를 위해 진료할 병원급 의료기관의 진료과목을 「의료법」제3조의3제1항제2호 또는 제3호에 따른 필수진료과목*으로 한정하여 종전조치 지속 *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과, 정신건강의학과, 치과 ** 진료할 의료기관에서 심평원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을 통해 '기타' 인력으로 신고 |
시행시기 | 보건의료 재난 위기 '심각' 단계기간 동안 한시적 시행 | - 필수진료과목에 대한 종전조치는 별도 통보시까지 계속 적용 - 필수진료과목 외 진료과목에 대한 종전조치는 2025.12.31.종료 |
※ 인력신고 및 요양급여비용 청구 관련 문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1644-2000). 끝.
1. 구민건강증진 및 보건행정에 협조하여 주시는 귀 의료기관에 감사드립니다.
2. '25.10.20. 중대본의 보건의료 재난 위기경보 단계 하향 조정에 따라 '의료기관 외 의료행위 한시허용 조치'를 아래와 같이 변경하오니 적극 협조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구분 | 종전조치('24.4.22.) | 변경조치('25.10.20.) |
법적근거 | 「의료법」제33조제1항제3호 -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공익상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요청하는 경우 의료인은 의료기관 외에서 의료행위 가능 | |
적용대상 | ① 병원급 의료기관 소속 의료인이 해당 의료기관의 환자를 의료기관 외에서 진료(별도 절차없이 일괄 허용) | ① 종료 |
적용대상 | ② 개원의가 자신이 개설한 의료기관이 아닌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진료(심평원 인력신고*만으로 가능) * 진료할 의료기관에서 심평원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을 통해 '기타' 인력으로 신고 | ② 필수의료 인력 부족 완화를 위해 진료할 병원급 의료기관의 진료과목을 「의료법」제3조의3제1항제2호 또는 제3호에 따른 필수진료과목*으로 한정하여 종전조치 지속 *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과, 정신건강의학과, 치과 ** 진료할 의료기관에서 심평원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을 통해 '기타' 인력으로 신고 |
시행시기 | 보건의료 재난 위기 '심각' 단계기간 동안 한시적 시행 | - 필수진료과목에 대한 종전조치는 별도 통보시까지 계속 적용 - 필수진료과목 외 진료과목에 대한 종전조치는 2025.12.31.종료 |
※ 인력신고 및 요양급여비용 청구 관련 문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1644-2000).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