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닫기

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관리

  • 홈
  • 분야별정보
  • 환경
  • 라돈·오염물질관리
  •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관리
공유하기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관리

목 적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에 대한 지도·점검을 실시하여 토양 오염을 사전에 예방하고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등 토양을 적정하게 관리·보전함으로써 주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자 함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치 [별표 2] <개정 2008.7.30>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제1조의 3 관련)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제1조의 3 관련)
종류 대상범위
1. 석유류의 제조 및 저장시설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별표 1의 제4류 위험물중 제1 · 제2 · 제3 · 제4석유류에 해당하는 인화성액체의 제조 · 저장 및 취급을 목적으로 설치한 저장시설로서 총 용량이 2만리터 이상인 시설(이동탱크저장시설을 제외한다)
2. 유독물의 제조 및 저장시설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20조제1항에 따른 유독물제조업, 유독물판매업, 유독물보관 · 저장업, 유독물사용업의 등록을 한 자 또는 같은 법 제34조제1항에 따른 취급제한 유독물영업의 허가를 받은 자가 설치한 저장시설중 별표 1에 의한 토양오염물질을 저장하는 시설(유기용제류의 경우는 트리클로로에틸렌(TCE),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저장시설에 한한다)
3. 송유관시설 ○「송유관 안전관리법」 제2조제2호의 규정에 의한 송유관시설중 송유용 배관 및 탱크
4. 기타 위 관리대상시설과 유사한 시설로서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어 환경부장관이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시설

※ 비고

  • 제 1호의 규정에 의한 석유류의 제조 및 저장시설의 용량산출은 다음 각호의 규정에 의한다.
    • 1. 동일한 부지안의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에 대하여는 각 시설의 용량을 합산한다.
    • 2. 부지가 연접되고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설치자가 동일한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에 대하여는 각 시설의 용량을 합산한다.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관리 및 절차

  •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정기 및 수시점검을 통한 토양오염 관리·감독
  •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토양오염 검사 등 관리 사항 지도를 통한 토양오염 사전 예방
  • 토양오염도 검사결과 우려기준 초과 사업장에 정화명령을 통한 오염토양 적정 관리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관리 및 절차 안내도(하단 내용 참조)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검사주기

  • 정기검사(토양오염도검사)
    • 저장시설 설치 후 5년, 10년, 15년이 되는 해에 각 1회(15년 이후 2년에 1회)
  • 정기검사(누출검사)
    • 저장시설 설치 후 10년이 지난 때부터 매 8년이 되는 해에 각1회
  • 수시검사
    • 사용종료 또는 폐쇄 때, 양도 · 임대 등으로 운영자가 달라지는 경우
    • 시설, 시설의 부지 또는 그 주변지역 안의 토양을 교체할 경우
    • 시설에 저장하는 토양오염물질의 종류 변경할 경우

토양오염우려기준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 3] < 개정 2011.10.6 >

토양오염우려기준(제1조의 5 관련)

토양오염우려기준(제1조의 5 관련)
물질 1지역 2지역 3지역
카드뮴 4 10 60
구리 150 500 2,000
비소 25 50 200
수은 4 10 20
200 400 700
6가크롬 5 15 40
아연 300 600 2,000
니켈 100 200 500
불소 400 400 800
유기인화합물 10 10 30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1 4 12
시안 2 2 120
페놀 4 4 20
벤젠 1 1 3
톨루엔 20 20 60
에틸벤젠 50 50 340
크실렌 15 15 45
석유계총탄화수소(TPH) 500 800 2,000
트리클로로에틸렌(TCE) 8 8 40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4 4 25
벤조(a)피렌 0.7 2 7

※ 비고

  • 1지역: 「측량 ·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목이 전 · 답 · 과수원 · 목장용지 · 광천지 · 대(「측량 ·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8조제8호가목 중 주거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지만 해당한다) · 학교용지 · 구거(溝渠) · 양어장 · 공원 · 사적지 · 묘지인 지역과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어린이 놀이시설(실외에 설치된 경우에만 적용한다) 부지
  • 2지역: 「측량 ·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목이 임야 · 염전 · 대(1지역에 해당하는 부지 외의 모든 대를 말한다) · 창고용지 · 하천 · 유지 · 수도용지 · 체육용지 · 유원지 · 종교용지 및 잡종지(「측량 ·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8조제28호가목 또는 다목에 해당하는 부지만 해당한다)인 지역
  • 3지역: 「측량 ·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목이 공장용지 · 주차장 · 주유소용지 · 도로 · 철도용지 · 제방 · 잡종지(2지역에 해당하는 부지 외의 모든 잡종지를 말한다)인 지역과 「국방 · 군사시설 사업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항제1호부터 제5호까지에서 규정한 국방 · 군사시설 부지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48조에 따라 취득한 토지를 반환하거나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 제12조에 따라 반환공여구역의 토양 오염 등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해당 토지의 반환 후 용도에 따른 지역 기준을 적용한다.
  • 벤조(a)피렌 항목은 유독물의 제조 및 저장시설과 폐침목을 사용한 지역(예: 철도용지, 공원, 공장용지 및 하천 등)에만 적용한다.
자료관리담당
환경과  / 02-820-1290
최종업데이트
2022년 07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