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닫기

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출생신고

  • 홈
  • 종합민원
  • 분야별 민원안내
  • 가족관계
  • 출생신고
공유하기

출생신고

신고의무자

  • ① 혼인 중 출생자의 출생신고는 부 또는 모가 하여야 합니다.
  • ② 혼인 외 출생자의 신고는 모가 하여야 합니다. (※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제57조 제1항, 제2항일 경우 부가 신고할 수 있습니다.)
  • ③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신고하여야 할 사람이 신고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아래 각 호의 순위에 따라 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1. 동거하는 친족

2. 분만에 관여한 의사·조산사 또는 그 밖의 사람

신고기간

  • 출생한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하여야 하며, 신고기간 내에 출생신고를 하지 아니하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신고장소

  • 출생의 신고는 출생자의 등록기준지 또는 신고인의 주소지나 현재지 시(구)·읍·면의 사무소에서 할 수 있습니다.
  • 기차나 그 밖의 교통기관 안에서 출생한 때에는 모가 교통기관에서 내린 곳, 항해일지가 비치되지 아니한 선박 안에서 출생한 때에는 그 선박이 최초로 입항한 곳에서 신고할 수 있습니다.

신고서 기재방법

  • 출생자의 성명 및 본, 성별 및 등록기준지 기재, 출생자의 성명과 본은 한자로 기재하고 한글로 병기하여야 합니다.
  • 자녀의 성과 본은 원칙적으로 부의 성과 본을 따릅니다. 모의 성과 본을 따르는 경우에는 그 사실을 출생신고서에 기재하여야 합니다.

    부모(부 또는 모가 외국인인 경우를 포함)가 혼인신고 시 모의 성과 본을 따르기로 협의한 경우(민법 제781조 제1항 단서), 부를 알 수 없는 혼인 외 출생자인 경우 모의 성과 본을 따르며(민법 제781조 제3항), 외국인 부와 한국인 모의 혼인 중의 자의 경우 선택적으로 부의 성 또는 모의 성을 따를 수 있으므로, 그 취지를 기재하도록 하였습니다.

  • 출생자의 이름은 대법원규칙에서 정한 인명용 한자를 사용하여야 하며, 사용가능한 인명용한자는 대한민국 법원 전자민원센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이름은 5자(성은 포함 안 됨)를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민원여권과 가족관계등록팀 (☎ 820-1875,1877)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서류

출생신고서에는 의사나 조산사가 작성한 출생증명서를 첨부하여야 합니다.
첨부파일 : 출생신고서 출생신고서(한글 프로그램)
서식다운로드

자료관리담당
민원여권과 가족관계등록팀 / 02-820-1875
최종업데이트
2025년 06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