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닫기

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도시재생

  • 홈
  • 분야별정보
  • 주택/도시/건설
  • 도시계획
  • 도시재생
  • 도시재생사업
공유하기

도시재생사업의 이해

도시재생의 개념

  •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사회·물리·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
    ※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정의)

근린재생의 개념

  • 근린재생은 공동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동체를 파괴하지 않는 방식, 공동체에 초점을 맞춘 방식으로 쇠퇴지역을 활성화시키는 것
    • 근린재생은 거주지 중심의 지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며, 주민공동체가 지역사회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하고 지역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근린재생은 도시재생, 지역재생 등의 용어와 혼용되기도 하나, 공간적 범위가 근린지구 또는 공동체 단위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시재생과 차별성이 있습니다.
    • 근린재생은 근린지구재생, 커뮤니티재생, 지역사회재생, 주거지재생 등 다양한 명칭으로 추진되고 있음
도시재생과 근린재생 넓은 의미의 도시재생
  • 도시재생은 대규모 계획사업 및 개발사업을 포함한 도시재생 전체를 의미
  • 근린재생(주거지 중심)은 주민참여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의 문화, 환경, 생활, 교육,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분야를 통한 지역활성화를 의미
도시재생은 근린재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서울형 도시재생사업의 배경

저층 주거지에 대한 활성화 및 주거환경의 개선이 필요

  • 서울시 면적 605㎢ 중에 18.3%에 해당하는 약 111㎢ 의 다세대 밀집지역에서 저층주거지의 인구구성이 변화되며, 지속가능한 발전이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서울시는 이에 대한 정책수단의 확보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사업성이 낮은 지역에서는 대규모 개발사업 추진이 어려움

  • 대부분의 개발사업은 민간사업자(자본)에 의해 추진되었습니다. 하지만 경기가 침체되고, 경제적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사업성이 높은 특정지역을 제외하고는 개발사업의 추진이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서울시 인구의 지속적 감소, 인구구조와 지역의 불균형 심화

  • 30, 40대 인구가 서울 밖으로 이주하고, 1인가구가 증가하는 등 서울시의 인구구조가 불균형을 보이기 시작했으며, 강북지역과 저층주거 밀집지역의 쇠퇴가 가속되는 등 지역불균형 문제도 심화되었습니다.

서울형 도시재생사업의 비전

서울형 도시재생의 비전

  • 자생력 강화를 통한 지속성확보를 통해 “함께 만들고” “함께 잘살고” “함께 행복한” <따뜻하고 경쟁력 있는 도시, 서울>입니다.
    • 지속가능한 도시재생환경을 주민·민간·행정이 함께 만드는 서울
    • 도시를 이끌어나갈 핵심지역의 경쟁력 향상을 통해 함께 잘사는 서울
    • 쇠퇴지역의 삶의 질 제고를 통해 함께 행복한 서울
따뜻하고 경쟁력 있는 도시, 서울은 사람중심과 정체성 강화가 합쳐진 구조로 함께 잘살고(경쟁력 강화 + 지역불균형 완화), 함께 만들고(재생 지원 기반 + 시민역량 강화), 함께 행복한(사람중심 공간 확충 + 사람의 질 제고) 구조입니다.
자료관리담당
도시정비1과 정비지원팀 / 02-820-1969
최종업데이트
2022년 07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