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닫기

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석면피해예방

  • 홈
  • 분야별정보
  • 환경
  • 석면안전관리
  • 석면피해예방
공유하기

석면피해 예방

생활 속 석면피해 예방

  • 석면 슬레이트 등 석면자재 주변의 먼지와 흙을 멀리하세요.
  • 집 먼지와 집으로 날아 들어온 흙을 정기적인 청소로 제거하세요.
  • 석면함유 자재가 파손되었을 경우 가루가 날리지 않도록 즉시 제거, 밀봉, 폐쇄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하며, 손상도가 클 경우 전문가를 통한 조치법을 강구해야 취해야 합니다.
  • 석면함유 물질의 주위에서 발견되는 부스러기, 조각 등은 젖은 걸레 또는 헝겊을 이용하여 습식으로 청소하여 제거해야 합니다.
  • 부득이 석면함유 물질의 부스러기, 조각 등을 직접 제거할 경우에 석면 노출을 예방하기 위하여 불침투성 보호의, 보호장갑, 보호화(보호 덧신), 특급성능의 방진마스크 등 개인 보호구를 착용 해야 합니다. 작업후에는 착용했던 개인 보호구도 석면과 함께 안전하게 폐기해야 합니다.

석면 위험 Q&A

  • 석면이 함유된 토양에서 재배한 농산물에도 영향을 주나요?
    • 오염된 토양으로 인한 농산물에 영향을 주는 것은 중금속으로서, 중금속이 식물에 흡수, 농축되어 그 농산물을 사람이 섭취했을 때 영향을 줍니다만, 석면은 중금속이 아닌 광물성 섬유로서 식물에 흡수, 농축되지 않고 또한 석면으로 인한 질병은 호흡을 통하여 발생되므strong로, 석면에 함유된 토양으로 재배된 농산물 섭취했을 때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석면 폐광산 인근 지역에 있는 지하수를 마셔도 될까요?
    • 석면의 입자는 가늘고 길어서 토양층에 걸러지므로, 지하수까지 도달하기 어렵고, 또한 석면은 호흡에 의한 폐질환이 대부분이므로, 마시는 것으로 소화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가 없습니다.
  • 천장재 텍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건강에 피해가 있는 건가요?
    • ‘텍스’라고 해서 모두 석면이 들어있는 것은 아니며, 이는 전문 분석기관에서 시료분석을 통해야만 알 수 있으므로, 분석기관에 건축물 석면조사를 의뢰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고형화된 건축자재는 파손되거나 노후되지 않을 시 공기 중으로 석면이 비산될 가능성은 낮으므로 지속적인 유지·관리만으로 충분히 건강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
환경과  / 02-820-1290
최종업데이트
2022년 07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