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닫기

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시설물관리

  • 홈
  • 분야별정보
  • 재난/안전/민방위
  • 안전
  • 시설물관리
  • 특정관리대상시설ㆍ지역 지정대상
공유하기

특정관리대상시설ㆍ지역 지정대상

시설물분야

※ 도로시설은 지방자치단체 관리구간임

시설물분야
구분 관리기호 대상범위 비고
도로시설 교 량 11 연장 20m이상, 100m미만으로 10년이상 시특법 대상 제외
경과된 교량
터 널 12 전수관리 시특법 대상 제외
육 교 13 설치된지 10년이상 경과된 시설 보도육교에 한함
지 하 도 14 설치된지 10년이상 경과된 시설 지하상가내의 지하도제외
축대·옹벽 15 축조 된 지 10년이상 경과된 높이 5m,연장 20m이상의 시설 건축물 부대시설 제외
기타도로부대시설 16 기타 도로시설 유지·관리를 위한 부대시설 등  
스 키 장 20 전수관리 리프트 포함
삭도·궤도 30 전수관리관광시설 : 케이블카 등※ 스키장내 리프트 제외 삭도·궤도법 적용대상
유 원 시 설 40 전수관리 - 종합유원시설 및 일반유원시설 - 안전성검사를 받지 않는 유기기구 제외 관광진흥법 적용대상
토목공사장  대형 공사장 51 총공사비 100억원 이상 국가기관에서 시행하는 공사장 제외
중단된공사장 52 총공사비 50억원 이상
유·도 선 60 전수관리(5톤 이상 동력선)- 해수면 유·도선 제외 내수면의 유·도선장
기 타 70 중점관리가 필요한 토목시설물  

건축물분야

건축물분야
구분 관리기호 대상범위 비고
지방공공청사 10 다중이용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연면적 660㎡이상의 청사 및 업무용건축물 국가기관 제외
공동주택 아 파 트 21 준공후 15년이상 경과된 주택 16층이상 공동주택,
연립주택 22 다세대주택 제외
다중이용건축물 판매시설 31 연면적 1,000㎡이상의 상점과 백화점 등 도·소매시장 -
대형숙박시설 32 연면적 1,000㎡이상 -
종합여객시설 33 고속·시외버스터미널, 여객선터미널 등 -
공연시설 34 연면적 300㎡이상의 영화관, 연회관, 음악당, 서어커스장 등 -
집회시설 35 연면적 300㎡이상의 예식장, 마권장외발매소, 회의장 등 -
관람전시시설 36 연면적 1,000㎡이상의 운동경기관람장, 박람회장, 전시장 등 -
의료시설 37 연면적 1000㎡이상 병·의원, 장례식장 등 -
종교시설 Jan-37 연면적 300㎡이상의 교회, 성당, 사찰, 기도원, 수도원 등 -
위락 휴게시설 38 연면적 300㎡이상 주점, 무도장, 관망탑 등 -
청소년 수련시설 39 연면적 1,000㎡이상 유스호스텔, 수련원 등 -
비디오 게임제공업 Jan-39 연면적 300㎡이상의 비디오방, PC방, -
게임장 및 노래연습장
대형건축물 40 11층이상 또는 연면적 5,000㎡이상 16층 이상 연면적30,000㎡ 이상 제외
건축공사장  대형공사장 71 총공사비 50억원 이상 또는 국가기관에서
중단된공사장 72 건축 바닥면적 10,000㎡이상 시행하는 공사장 제외
   
위험물 시설 가스취급시설 81 충전소,판매소, 제조소, 지역정압기 주거·상업·준공업지역내 시설
유독물취급시설 82 유독물 보관·저장소   
화학물질취급시설 83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공장   
공단 지방공단 85 - 국가공단 제외
농공단지 86 -
신종업종 콜라텍 91 전수관리 -
번지점프장 92 전수관리 -
휴게텔 93 전수관리 -
찜질방 94 전수관리 -
산후조리원 95 전수관리 -
고시원 96 전수관리 -
화상대화방 97 전수관리 -

중점관리대상시설에서 제외하는 시설물

  • 『시설물의안전관리에관한특별법』에 의한 1·2종 시설물
    • 100m 이상의 교량·지하차도, 특별시·광역시 지역내의 터널, 폭 6m이상·연장 100m이상인 복개구조물 등
    • 16층 이상의 공동주택, 16층 이상 또는 연면적 30,000㎡이상의 건축물, 연면적 5,000㎡이상의 다중이용건축물
    • 도로·건축물의 부대시설로써 높이 5m이상, 연장 100m이상인 옹벽 - 연직높이 50m이상, 수평연장 200m이상의 절토사면 등
      ※ 다만,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이 구조 및 상태 등에 위험요소가 있거나, 그 규모, 이용인구면 등에서 재난의 예방을 위해서 계속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시설물"은 특정관리대상시설로 지정할 수 있음
  • 『 재난관리법 제2조제6호』에 의한 『재난관리책임기관』이 직접관리하는 시설물 (지방행정기관 등의 범위는 재난관리법 시행령 제2조 참조)
    • 국가 또는 지방행정기관 등이 관리하는 정부기관청사, 교정시설, 군사시설 등 공공시설과 타 재난관리책임기관이 관리하는 시설
    • 부산교통공단 및 지하철공사에서 직접 관리하는 지하철 역사, 교량, 터널 등
    • 한국산업단지공단이 관리하는 국가산업단지
    • 한국가스안전공사가 관리하는 일정규모이상의 고압가스, LPG·충전, 도시가스 제조시설 - 한국전력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이 관리하는 댐, 발전·변전시설
    • 시·도 교육청장이 관리하는 학교시설 등 각급 초·중·고 및 대학시설
    • 기타 재난관리책임기관이 관리하는 시설 등
  • 『자연재해대책법 시행령 제3조』에 의한 『방재시설』
    • 소하천 및 하천시설, 수리시설, 댐 등
      ※ 중점관리대상시설에서 제외하는 시설물은 지정대상에서는 제외하되, 재난발생시 ·사고대책본부 운영· 및 재난관리를 위해 별도현황을 파악하여 관련부서별로 별도 관리
자료관리담당
도시안전과  / 02-820-1230
최종업데이트
2023년 07월 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