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닫기

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역사문화탐방

  • 홈
  • 분야별정보
  • 문화/관광/체육
  • 문화
  • 역사문화탐방
공유하기

부안군 이석수 묘역

부안군 이석수묘역
구 분
문화유적
소재지
서울시 동작구 현충로210(사당동 산 41-2)
문화재지정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29호
전화번호
홈페이지
-

국립현충원내에 있는 이 묘역은 조선 9대왕인 성종(成宗)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扈從)한 공로로 선무종훈(宣武從勳)된 바 있는 부안군(扶安君) 이석수(李碩壽:1524년~1598년)의 분묘와 그 부인인 현부인(縣夫人) 평강채씨(平康蔡氏)의 분묘가 자리한 묘역으로 묘역 내에는 부안군 이석수의 묘와 그 배위 현부인 평강채씨의 묘 외에도 그 손자인 순안군(順安君) 이선룡(李善龍)과 그 배위 현부인(縣夫人) 남원윤씨(南原尹氏)의 묘 등 총 4기의 분묘와 석물 6기가 자리하고 있다.

국립현충원내에 있는 이 묘역은 조선 9대왕인 성종(成宗)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扈從)한 공로로 선무종훈(宣武從勳)된 바 있는 부안군(扶安君) 이석수(李碩壽:1524년~1598년)의 분묘와 그 부인인 현부인(縣夫人) 평강채씨(平康蔡氏)의 분묘가 자리한 묘역으로 묘역 내에는 부안군 이석수의 묘와 그 배위 현부인 평강채씨의 묘 외에도 그 손자인 순안군(順安君) 이선룡(李善龍)과 그 배위 현부인(縣夫人) 남원윤씨(南原尹氏)의 묘 등 총 4기의 분묘와 석물 6기가 자리하고 있다.
부안군과 평강채씨의 묘는 순안군과 남원윤씨의 묘 아래쪽으로 단차를 두고 위치하고 있다. 묘 뒤쪽으로는 사성(莎城)이 조성되어 분묘를 감싸 안고 있는 형국이며 용미(龍尾)가 조성되어 있다.

약도

부안군 이석수 묘역 약도

교통정보
  • 지하철 : 4호선 동작역2,4번 출구(국립현충원 내 있음)
  • 일반버스 :(국립현충원 하차)361-363, 4511, 5524, 6211, 640

서울시 동작구 현충로210(사당동 산 41-2)

서울시 동작구 현충로210(사당동 산 41-2)
  • 부안군 이석수묘역 부안군 이석수묘역
  • 부안군 이석수묘역1 부안군 이석수묘역1
자료관리담당
문화정책과  / 02-820-9404
최종업데이트
2025년 07월 0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