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닫기

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생애주기별 복지

  • 홈
  • 분야별정보
  • 생애주기별 복지
  • 생애주기별 복지
공유하기

신모·신생아 도우미 지원

생애주기
[영유아] [청년] [중장년]
가구상황별
[일반]
담당부서
모자보건팀
02-820-9475
최종수정일
2025-06-25
조회수
363
첨부파일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 대 상 : 모든 출산 가정 지원 (소득 및 출산유형에 따라 정부지원금 상이)
  • 신청장소 및 신청기한
    • 방문신청 :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보건소
    • 온라인신청 : 복지로(www.bokjiro.go.kr)
    • 신청기한 :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 바우처유효기간: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는 퇴원일로부터 60일 이내, 이 경우 출산일로부터 120일 경과하면 소멸)
    • 미숙아,선천성이상아 출산으로 입원한 경우 신생아 퇴원일로부터 30일이내[입퇴원확인서, 진단서(입퇴원일명시) 첨부]
  • 지원내용
    • 지원방식 : 산모의 산후 건강관리 및 신생아 관리를 위한 가정방문 건강관리사 서비스 제공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 산모 영양관리, 산모 위생관리, 신생아 청결관리, 신생아 수유지원
    • 가사활동 지원 : 산모 식사 준비, 산모와 신생아 주 생활공간 청소, 산모신생아 세탁물 세탁
    • 태아유형, 출산순위, 소득유형에 따라 정부지원금 및 서비스 기간 상이
  • 유형안내
    “가”형 : 산모 또는 배우자가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차상위계층 출산가정
    유형안내표
    설명

    지원대상, 필요 증명서류 정보를 포함하는 표

    지원대상 필요 증명서류
    기초생활
    보장
    생계급여 수급자증명서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차상위 차상위 본인부담경감 차상위본인부담경감증명서
    차상위자활 자활근로참여확인서
    차상위장애인 장애인연금(차상위부가급여), 장애수당(차상위), 장애아동수당(차상위) 수급자 확인서
    차상위자격확인 차상위계층 확인서
    ※ 증명서, 확인서의 유효기간은 신청일 전일부터 30일 이내이어야 함
    ※ 차상위자활은 “자활근로참여확인서” 상 “차상위 자활”이 해당됨, 신청일 현재 자활참여중이거나 “자활근로 참여기간 종료일( 년 월 일 ~ 년 월 일)”이 산모신생아 서비스(바우처) 신청일 전일부터 6개월 이내여야 함
    • “통합”형 : 기준중위소득 100%이하 가구(소득판별 기준표 참고)
    • “ 라 ”형 : 기준중위소득 100%초과 가구(소득판별 기준표 참고)
      ※ 라형은 국가지원 라형/ 서울시 예외지원 라형으로 나뉘어짐
      첫째아 이면서 100%초과자는 서울시 예외지원 라형
      둘째아 이면서 100%~120%사이는 국가지원 라형, 120% 초과자 서울시 예외지원 라형
  • 2019년 가구원수•가입유형별 소득판별 기준표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에 의한 기준중위소득 100% 판정기준]
    유형안내표
    설명

    가구원 수(태아 포함)(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원)(지역가입자, 혼합(직장+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표

    가구원 수(태아 포함)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원)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직장+지역)
    2인 94,808 75,719 95,962
    3인 121,528 115,254 122,961
    4인 150,844 151,910 152,850
    5인 177,419 184,185 180,259
    6인 206,091 219,834 209,942
    7인 236,255 257,406 241,925
    8인 263,711 287,857 272,807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에 의한 기준중위소득 120% 판정기준]
    유형안내표
    설명

    가구원 수(태아 포함)(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원)(지역가입자, 혼합(직장+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표

    가구원 수(태아 포함)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원)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직장+지역)
    2인 113,335 104,203 114,691
    3인 146,494 147,114 148,626
    4인 180,259 187,654 183,286
    5인 213,859 229,322 217,845
    6인 248,424 271,339 255,816
    7인 283,533 308,578 295,580
    8인 326,151 355,813 348,036
    맞벌이 부부 경우 : 건강보험료가 낮은 배우자의 보험료는 50%만 합산
    직장가입자가 휴직한 경우 : 휴직증명서 및 최근월분 급여명세서(유급시) 제출
    휴직기간이 1개월(30일) 미만인 경우 : 휴직 직전월 건강보험료 반영
    휴직기간이 1개월(30일) 이상인 경우
    무급휴직자 : 휴직기간동안 소득이 없는 것으로 처리
    유급휴직자 : 급여명세서상의 신청일 기준 최근월분 급여액에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률(3.12%)을 곱하여 산정된 금액으로 지원 자격여부 결정
    ⇒ 휴직증명서 및 공문서는 휴직기간 및 무급·유급 여부가 기재되어 있어야함
    ⇒ 휴직증명서는 휴직기간 및 휴직여부을 확인할 수 있는 공문서로 대체 가능
    군인인 경우 전화 문의 후 방문
    부부 모두가 외국인인 경우 당해 외국인은 국내 체류자격 비자 종류가 F-2, F-5, F-6인 경우에 한함
  • ’19년 서비스가격 및 정부지원금(’19.1.1~’19.12.31.)
    19년 서비스가격 및 정부지원금표
    설명

    구분(단축, 표준, 연장, 단축), 서비스기간(표준, 연장, 단축), 서비스가격(천원)(표준, 연장, 단축), 정부지원금(표준, 연장), 본인부담금 정보를 포함하는 표

    구분 서비스기간 서비스가격(천원) 정부지원금 본인부담금
    단축 표준 연장 단축 표준 연장 단축 표준 연장 단축 표준 연장




    A-가-①형 자격확인 5 10 15 560 1,120 1,680 491 840 1,134 69 280 546
    A-통합-➀형 100% 이하 432 739 998 128 381 682
    A-라-①형 100%초과
    (예외지원)
    344 588 794 216 532 886


    A-가-②형 자격확인 10 15 20 1,120 1,680 2,240 1,009 1,294 1,552 111 386 688
    A-통합-②형 100% 이하 888 1,138 1,366 232 542 874
    A-라-②형 80%초과
    (예외지원)
    706 906 1,087 414 774 1,153




    A-가-③형 자격확인 10 15 20 1,120 1,680 2,240 1,048 1,344 1,613 72 336 627
    A-통합-③형 100%이하 923 1,183 1,419 197 497 821
    A-라-③형 100%초과
    (예외지원)
    734 941 1,129 386 739 1,111




    B-가-①형 자격확인 10 15 20 1,450 2,175 2,900 1,408 1,805 2,166 42 370 734
    B-통합-①형 100% 이하 1,239 1,589 1,906 211 586 994
    B-라-①형 100%초과
    (예외지원)
    986 1,264 1,516 464 911 1,384




    B-가-②형 자격확인 15 20 25 2,175 2,900 3,625 2,112 2,407 2,708 63 493 917
    B-통합-②형 100% 이하 1,859 2,118 2,383 316 782 1,242
    B-라-②형 100%초과
    (예외지원)
    1,478 1,685 1,896 697 1,215 1,729




    상,








    C-가형 자격확인 15 20 25 2,505 3,340 4,175 2,433 2,772 3,119 72 568 1,056
    C-통합형 100%이하 2,141 2,440 2,744 364 900 1,431
    C-라형 100%초과
    (예외지원)
    1,703 1,941 2,183 802 1,399 1,992

제외대상

  • 기초생활보장 해산급여 수급한자, 긴급복지 해산비를 수급한 자, 입양숙려기간 모자지원(입양특례법 제13조 및 제33조) 사업에 따른 지원을 받은 자 제외(지원 포기각서 제출 시 확인 후 서비스 제공 가능) ※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사업은 중복지원으로 보지 않음

구비서류

  • 1.산모수첩 또는 진단서 또는 소견서(출산 전) / 출생증명서(출산 후) - 분만예정일/분만일 확인(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는 퇴원일로부터 60일 이내, 이 경우 출산일로부터 120일 경과하면 소멸)
  • 산모 신분증(대리신청시 : 위임장, 대리신청인 신분증, 신청인과 대리신청인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위임장
  • 2.주민등록등본 1부
  • 3.산모 및 배우자의 건강보험증 사본 1부(맞벌이 부부일 경우 모두 첨부)
  • 4.신청일 기준 최근월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맞벌이 부부일 경우 모두 첨부)
    ⇒3,4,5의 경우 「전자정부법」에 따라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통한 확인에 동의할 경우 제출생략
    (단, 보험료 고지금액이 확인 되어야 함)
    ⇒ 부부 중 한명이 외국인이거나, 부부가 등본상 주소지 다른 경우 가족관계증명서 제출

문의전화

  • 동작구보건소 건강관리과(820-9505,9579)
자료관리담당
복지정책과  / 02-820-9040
최종업데이트
2025년 07월 0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