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닫기

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충효길코스

  • 홈
  • 분야별정보
  • 문화/관광/체육
  • 동작테마여행
  • 충효길코스
  • [3코스] 한강나들길
공유하기

지극한 효심이 함께 하는 공간, 한강나들길

한강나들길은 동작역부터 노량진역을 잇는 구간으로 유구히 흐르는 한강의 풍경을 바라보면서 산책할 수 있습니다. 한강의 절경을 감상할 수 있는 효사정과 용양봉저정에 들르면 효를 화두로 한 감동적인 이야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효심(孝心)을 테마로 꾸민 한강나들길을 거닐면서 부모님께 안부전화를 드려보는 것도 좋습니다.

제3코스 : 한강나들길(4.7㎞) 효(孝)를 테마로 가족과 함께하는 길 ( 용양봉저정 ) 상세내용은 하단 내용을 참조하세요.

  1. 동작역

  2. 한강수변길

  3. 효사정

  4. 용양봉저정

  5. 노들역

  6. 노들나루공원

  7. 사육신 역사공원

  8. 노량진역

[3코스] 한강나들길

[3코스] 한강나들길 안내지도 입니다. 상세 내용은 하단을 참조하세요.
소요시간
약 1시간 20분 (4.7㎞)
난이도
테마주제
효(孝)를 테마로 가족과 함께 걷는 길
출발기점 정보
지하철 4호선 동작역 3번 출구
버스 : 360, 362, 363, 462, 640, 642, 752, 5524, 6411
도착지점 정보
지하철 1호선 노량진역 1번 출구
편의시설
화장실 : 4호선 동작역사 내, 1호선 노량진역사 내, 배수지공원 내, 사육신공원 내
식수 : -
매점 : 흑석역, 노들역, 노량진역 주변 편의점
여행TIP
3코스는 동작역을 출발하여 한강수변길을 따라 한강의 경치를 만끽할 수 있으며, 한강을 지나 효사정과 용양봉저정에 이르면 옛선인들의 부모님에 대한 효심을 느낄 수 있다.
배수지공원을 지나 사육신공원에 이르면 최근에 지어진 박물관에서 사육신공원에 대한 모든 정보를 만날 수 있다.
노량진역 주변의 학원가에서는 가지가지 길거리음식이 판매되고 있어 주머니가 얇은 수험생들에게 인기가 많다.

한강나들길 코스 소개

  •  용양봉저정 현장사진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정조 임금의 마음 용양봉저정
    • ‘용이 뛰놀고 봉황이 높이 난다’는 뜻의 용양봉저정은 조선시대 정조대왕이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묘를 참배하러 가는 길이면 들르던 정자였다.
    • 사도세자의 묘인 현륭원은 지금의 경기도 수원에 위치하기 때문에 한강을 건넌 후 잠시 휴식하며 점심식사를 하던 곳, 그렇기에 이곳을 주정소라고도 불렀다.
    • 비운에 돌아간 아버지 사도세자를 그리며 참배길에 오른 정조대왕의 마음이 용양봉저정 곳곳에 배어 있다.
  • 사육신역사공원 현장사진
    선비의 절개가 살아 있는 곳 사육신역사공원
    • 임금와 스승, 부모는 하나라는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의 정신처럼 하늘아래 두 부모가 없듯 임금 역시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충효정신이 살아 있는 곳, 바로 사육신역사공원이다.
    • 조선시대 단종의 복위를 추진하다 순절한 여섯 충신 성삼문, 박팽년, 이개, 유응부, 유성원, 하위지를 기리고자 조성된 공원이다.
    • 사육신역사공원은 한강이 내려다보이는 한강 인도교와 노량진역 중간의 높은 언덕에 위치해 아래로 흐르는 한강의 전망을 즐길 수 있다.
  • 효사정 현장사진
    절경도 으뜸 효심도 으뜸  효사정
    • 효사정은 예로부터 한강을 끼고 있는 정자 가운데 경관이 일품인 것으로 유명했다.  신숙주, 정인지, 서거정 등 내노라 하던 문인들이 효사정의 정취와 이름의 참 뜻을 시로 읊어 기렸을 정도로 조선시대 효도의 상징으로 이름을 떨쳤다.
    • 세종 때 우의정을 지낸 공숙공 노한이 모친상을 당했는데, 3년 동안 무덤 옆에 초막을 치고 살다가 인근 언덕에 정자를 지어 어머니를 추모하며 지냈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다.
    • 서울의 우수경관 조망명소로 손꼽히고 있다.
자료관리담당
공원녹지과  / 02-820-1379
최종업데이트
2022년 07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