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닫기

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다문화가족 지원정보

  • 홈
  • 분야별정보
  • 생애주기별 복지
  • 다문화가족
  • 다문화가족 지원정보
  • 다문화가족 의료지원
공유하기

다문화가족을 위한 의료지원안내

건강보험에 가입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으며, 무료로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고, 사망했을 때는 장례비용을 지원받습니다.

국민건강보험 등록

국민건강보험 등록 안내

  • 한국국적이 없더라도 외국인등록을 했다면 결혼이민자는 한국국적이 없더라도 외국인등록을 했다면 직장에 다니는 경우에는 직장에서, 부부가 직장에 다니지 않는 경우에는 지역에서 건강보험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 배우자가 직장가입자라면 자격취득신고서, 외국인등록증, 배우자의 가족관계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등의 서류를 갖춰 피부양자로 등록하면 됩니다.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의료급여수급자의 경우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않아도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외국어 상담 안내(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우즈베크어)

국민건강보험가입자 외 무료진료안내

형편이 어려운 분은 무료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무료진료 사업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등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결혼이민자 및 그 자녀 등에게 입원비 및 수술비를 무료로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 국립중앙의료원 ☎ 02-2260-7114
  • 각 지역의 지방의료원(서울의료원 ☎ 02-3430-0201)
  • 적십자병원(서울적십자병원 ☎ 02-2002-8000)
  • 시/도지사가 인증한 의료기관(외국인노동자의원 ☎ 02-863-9966/ 시립동부병원 ☎02-920-9114)

이용방법

  • 한국 국적을 갖지 못한 결혼이민자는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국립의료원, 시/도지사가 인증한 의료기관 등에 이용신청을 합니다.
  • 신청할 때는 여권 또는 외국인등록증, 한국인 배우자와 결혼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 가정폭력과 성폭력 피해 여성의 경우 쉼터와 연계되어 무료진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한국국적을 취득한 결혼이민자, 건강보험가입자 또는 의료급여수급자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되지만 해당자가 가출, 피신 등으로 건강보험 등을 적용 받기 곤란한 상태임을 관련단체에서 확인하는 경우 가능합니다.

지원비용

  • 용입원에서 퇴원까지 진료비를 1인당 500만원 범위 내에서 지원 합니다.
  • 1회당 진료비가 500만원을 초과한 경우, 초과사유서를 제출하면 500만원까지 추가 지원 가능합니다.
  • 1회당 진료비가 1,000만원을 초과한 경우에는 초과한 금액의 80%를 지원합니다.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각 지역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국립의료원, 지정의료기관 또는 보건소, 보건복지콜센터(☎129), 읍/면/동주민센터에 먼저 상담하세요)

의료급여제도

경제적으로 생활이 곤란한 가정에 대해 국가가 질병/부상 및 출산 등에 소요되는 의료비용을 대신 지불하는 제도입니다.

의료급여의 혜택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 정하는 수급권자(최저생계비 이하로 구성된 가구 구성원)에게 주어집니다. 대한민국국적의 자녀를 양육하는 결혼이민자도 의료급여 적용 대상자가 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
영유아보육과 출산가족팀 / 02-820-9236
최종업데이트
2025년 03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