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닫기

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동작 문화유산/전통사찰

  • 홈
  • 분야별정보
  • 문화/관광/체육
  • 문화
  • 동작 문화유산/전통사찰
공유하기

부안군 이석수묘역

부안군 이석수묘역
구 분
서울특별시지정 문화유산자료
소재지
서울시 동작구 현충로 210
지정(등록일)
2005-09-15
관리자
이충우/이정우
연락처

국립현충원 내에 있는 이 묘역은 조선 9대왕인 성종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로로 선무종훈 된 바 있는 부안군 이석수의 분묘와 그 부인이 현부인 평강채씨의 분묘가 자리한 묘역이다.

시도지정문화재는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가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지 아니한 문화재 중 보존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것을 지방자치단체(시·도)의 조례에 의하여 지정한 문화재로서 유형문화재·무형문화재·기념물 및 민속자료 등 4개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이 곳에는 조선 제9대 왕인 성종의 손자인 부안군 이석수(1524~1598)와 그의 부인 평강 채씨의 합장묘가 있다. 묘역의 봉분은 쌍분이고, 묘표ㆍ혼유석ㆍ향로석ㆍ문인석 등의 석물이 있다.  이 묘역의 위쪽에는 그의 손자인 손안군 이선룡과 그의 두 부인 남원 윤씨와 여흥 민씨의 쌍분 삼위 합장묘가 있다.  부안군 묘표는 옥개석ㆍ비신ㆍ비좌로 이루어져 있다.  비문에는 5대손 이태제가 1727년(영조3)에 이 비를 세웠다는 것과 이 부안군의 첫 부인인 김해 허씨와 맏아들의 묘역이 양주 장흥면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 기록되어 있따.  부안군은 성종과 명빈김씨와의 사이에 태어난 무산군의 아들이다.  그는 처음 창선대부 부안정을 제수받고 후에 명선대부 도정을 제수받았다.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위한 공로로 선무종훈되었다.  그는 죽은 후 정의대부 부안군으로 중직되었다.

 - 출처 : 부안군 이석수묘역 안내표시판 -


서울시 동작구 현충로 210

지하철 : 4호선 동작역 2,4번 출구(국립현충원 내)
일반버스 : 361,362,363,4511,5524,6211,640 국립현충원 하차
좌석버스 : 9411,9412 국립현충원 하차
  • 부안군 이석수묘역 관련사진 1 부안군 이석수묘역
  • 부안군 이석수묘역 관련사진 2 부안군 이석수묘역1
자료관리담당
문화정책과  / 02-820-9404
최종업데이트
2025년 07월 0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