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닫기

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인물

  • 홈
  • 분야별정보
  • 문화/관광/체육
  • 역사
  • 인물
공유하기

유성원(柳誠源)

사육신묘
시 대
조선전기
활동분야
문신
본 관
문화
태초
낭간
대표관직
집현전학사

충경

? ~ 세조 2년(1456).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본관(本貴)은 문화(文化)이며, 자(字)는 태초(太初), 호(號)는 낭간(瑯玕)이다. 아버지는 사인(舍人) 사근(士根)이다.

 

세종 26년(144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듬해 집현전저작랑(著作郞)이 되어 , 당시의 의학총서(醫學護書)인《의방유취 醫方類衆》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 1447년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였고, 춘추관 시•관(史官)의 자격으로《고려사》의 개찬(改撰)에 참여하였으며, 집현전학사로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 1452 년 3월에 춘추관 기주관(記注官)으로서《세 종실록》의 찬술에 참여하였다.

 

1455년 수양대군이 단종의 선위 (禪位)를 받아 왕위에 올랐는데, 이해 집의도 겸하 게 되었다. 세조 2년(1456) 김질(金礩)의 고변에 의하여 성삼문 • 박팽년 등 사육신이 주동이된 단종을 복위시키려는 계획이 사전에 발각되었는데, 그도 이 계획의 모의에 참여하였다. 일이 발각되자 그는 성균관에 있다가 집에 돌아와 관대도 벗지 않은 채 조상의 사당 앞에서 패도(佩刀)를 뽑아 자결하였다. 뒤에 남효온(南孝溫)이 그 당시 공론(公論)에 의거하여 단종복위사건의 주동인물인 성삼문•박팽년•하위지 •이개 • 유성원 • 유응부 등 6인을 선정하여〈육신전 穴臣傳〉을 지었다.

영조 34년(1758)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 시호(諡號)를 충경 (忠景) 이라 하였다.

 

 

 

자료관리담당
문화정책과  / 02-820-9404
최종업데이트
2025년 07월 0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