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닫기

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알려드립니다

  • 홈
  • 우리동작
  • 새소식
  • 알려드립니다
공유하기

1.30일부터 실내마스크 자율 착용 권고로 전환

홍보담당관
02-820-1643
등록일
2023-01-27
조회수
421
첨부파일

◈ 설 연휴 이후 1월 30일부터 1단계 의무 조정 시행으로 실외에 이어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자율적으로 착용하도록 권고로 전환함

  • 다만, 고위험군 보호 등을 위해 감염취약시설, 의료기관•약국 및 대중교통수단 내에서는 착용 의무 유지
  • ①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거나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하는 경우, ②코로나19 고위험군이거나 또는 고위험군과 접촉하는 경우, ③최근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했던 경우(접촉일로부터 2주간 착용 권고), ④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밀집·밀접) 환경에 처한 경우, ⑤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이나 합창, 대화 등 비말 생성행위가 많은 경우에도 마스크 착용을 강력히 권고

◈ 마스크 착용의 효과성이 높고 필요성도 여전한 만큼 필요시 자율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하는 방역수칙 생활화를 거듭 강조

■ 주요내용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추진 계획
  • (1단계 조정 내용)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착용 권고로 전환하되, 일부 시설의 경우는 1단계 의무 조정 대상에서 제외된다.
    • 감염취약시설, 의료기관·약국 및 대중교통수단 내에서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유지된다.

      * 감염취약시설: 요양병원•장기요양기관, 정신건강증진시설, 장애인복지시설

      ** 대중교통수단: 버스, 철도, 도시철도, 여객선, 도선, 택시, 항공기 등

    • 또한, ①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거나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하는 경우, ②코로나19 고위험군이거나, 고위험군과 접촉하는 경우, ③최근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했던 경우(접촉일로부터 2주간 착용 권고), ④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밀집·밀접) 환경에 처한 경우, ⑤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이나 합창, 대화 등 비말 생성행위가 많은 경우에도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강력히 권고했다.

    < 마스크 착용 권고 상황 >

    • ①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거나, 코로나 19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하는 경우

      * (코로나19 의심 증상) 인후통, 기침, 코막힘 또는 콧물, 발열 등

    • ② 코로나19 고위험군이거나, 코로나19 고위험군과 접촉하는 경우

      * (코로나19 고위험군) 60세 이상 연령층, 면역저하자, 기저질환자 등

    • ③ 최근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했던 경우(접촉일로부터 2주간 착용 권고)
    • ④ 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밀집•밀접) 실내 환경에 있는 경우
    • ⑤ 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합창•대화 등 비말 생성행위가 많은 경우
  • (조정 시점) 1단계 의무 조정은 설 연휴 다음주인 1.30.(월)부터 시행된다.
    • 이는 설 연휴 주간 인구 이동의 증가, 1단계 의무 조정 제외 대상 시설에 대한 안내·홍보 등의 조치에 일정 기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여 설정되었다.

    다만, 의무 조정시 확진자 발생 규모는 증가할 수 있고, 고위험군 면역이 아직 부족한 만큼 마스크 착용 생활화와 백신 추가 접종은 적극 권고된다.

1단계 의무 조정 시, 마스크 착용 의무 유지 장소

★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1단계 조정 시 감염취약시설, 의료기관•약국 및 대중교통수단 내에서는 착용 의무 유지

  • 감염취약시설(3종) (상세 내용은 별도 안내)

    1. 요양병원•장기요양기관

    2. 정신건강증진시설

    3. 장애인복지시설

  • 의료법(제3조)에 따른 의료기관
  • 약사법(제2조)에 따른 약국
  • 대중교통수단
    • 대중교통법(제2조)에 따른 대중교통수단 : 노선버스, 철도, 도시철도, 여객선, 도선
    • 여객자동차법(제3조)에 따른 구역 여객자동차 운송사업 차량 : 전세버스, 특수여객자동차, 일반택시, 개인택시
    • 항공사업법(제2조)에 따른 항공운송사업자가 여객을 수송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용하는 항공안전법(제2조)에 따른 항공기
자료관리담당
전부서 / 02-820-1114
최종업데이트
2025년 07월 0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