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동작구청이 45년만에 장승배기 신청사로 이전합니다.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6월 30일부터 7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합니다 닫기

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알려드립니다

  • 홈
  • 우리동작
  • 새소식
  • 알려드립니다
공유하기

전국적인 백일해 유행, 예방수칙 지키고! 우리 아이 건강 챙기고!

감염병관리과
02-820-1945
등록일
2024-06-26
조회수
962


백일해(Pertussis)?

-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 감염에 의한 세균성 급성 호흡기감염증으로 2급 감염병

- 전 세계적으로 아동 청소년 위주로 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2024.6.26.기준 3,418명의 환자가 발생

- 신고 환자의 92.74%0~19세 영·유아 및 학령기에서 집중발생

- 동작구 관내 초등학교에서도 백일해 확진 환자 1명 발생

 

- 백일해 국내발생 현황 및 특징

: 2024.6.26.기준 3,418명의 환자가 발생 / 이 중 서울은 273명

: 국내에서는 DTaP 백신의 도입으로 백신접종률의 증가와 함께 환자발생이 감소

                 2001년 이후 연간 20명 내외 수준 / 간혹 전남, 경남, 경기 등 소규모 유행 지속

                 2020~2022년 코로나 대유행에 따라 개인위생 준수 및 생활습관 변화 등으로 급격히 감소

                 2024년 전국적인 대유행이 진행중이며 예방접종이 끝나지 않은 생후 6개월 미만의 소아 및 청소년 재유행이 있어 주의가 필요

 

- 백일해의 감염병 특성

원 인 균 : 그람음성 coccobacilli균에 속하는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

감염경로 : 사람에게만 질병을 일으키며 기침이나 재채기로 인한 비말을 통해 호흡기 전파가 주된 경로

                       감염자의 호흡기 분비물로 오염된 물체를 만진 손을 통해 간접적 전파도 가능  *감염재생산지수(R0)=12~17

잠 복 기 : 4~21(평균 7~10)

역학적특성 : 연중 발생하며 보통 늦은 여름~가을에 발생, 감염이나 예방접종으로 평생 면역 획득 불가

                                    백일해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가족 내 접촉자의 발병률은 70~100%

증 상 : 발작성 기침이 특징적(발열은 심하지 않음) / 합병증 : 무기폐, 기관지 폐렴 등

                        ① 카타르기*(catarrhal stage)콧물, 눈물, 경한기침 등의 상기도 감염증상이 1~2주간 나타남

                                                                                              *백일해균의 증식이 가장 왕성하여 전염성이 제일 높은 시기

                        발작기(paraoxysmal stage)기침이 심해지며 발작성 기침*이 있으며 훕하는 소리(Whooping cough)가 특징

                                                                                       기침 후 구토, 무호흡 등 증상이 나타남 / 청색증, 결막충혈 등도 발생

                                                                                              *경련성의 짧은 기침을 15~20회 연속 지속 / 하루에 40~50회 정도 반복

                       회복기발작성 기침의 횟수나 정도가 호전 / 2~3주 후 기침은 소실되지만 비발작성 기침은 수주 지속가능

치 료 : 항생제치료*(증상완화 및 이차적인 전파 억제 목적) 및 수분·전해질 보충 등 대증치료가 필요

                     *마이크로라이드(macrolide)계열 항생제 :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 적절한 항생제 투여시작 후 5일까지 격리 / 치료를 안할 경우 기침이 멈출때까지 최소 3주 이상 격리

접 촉 자 : 증상모니터링 및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상담 후 예방적 항생제 치료 고려 가능

 

- 백일해 예방법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기침예절 실천하기

    : 기침할 때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씻지 않은 손으로 눈, , 입 만지지 않기

실내에서는 자주 환기하기

    : 하루 최소 3, 매회 10분 이상

기침증상이 있는 경우 마스크 착용하고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예방접종 받기

    :(소아) 생후 2, 4, 6, 1518개월, 46세에 DTaP 백신으로 접종 후 만 1112세에 Tdap 백신으로 추가접종 이후 Td 또는 Tdap 백신으로 매 10년마다 추가접종을 실시

     (성인) 과거접종력이 없는 경우 최소 4주 간격을 두고 2회 접종2차 접종 후 6~12개월 후에 Td 또는 Tdap 백신 총 3회 접종(3회 중 1회는 Tdap 백신 사용)              연령, 예방접종력에 따라 접종일정이 다름


만약 발작성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거나 백일해 감염이 의심된다면 즉시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보시고 

       문의사항이 있으시다면 동작구 보건소 역학조사관 02-820-1945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자료관리담당
전부서 / 02-820-1114
최종업데이트
2025년 07월 13일